두산퓨얼셀 주가정보및 기업정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산퓨얼셀 주가정보및 기업정보

by 정론 2024. 2. 5.
반응형

두산퓨얼셀의 주가정보 및 기업정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할 때 주가에 기술적 분석도 중요하지만 해당 기업이 어떤 회사인지를 확인하고 투자의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투자한다면 더 좋은 투자판단을 내릴 것으로 생각합니다.

 

두산퓨얼셀-주가정보및-기업정보
두산퓨얼셀 주가정보및 기업정보

두산퓨얼셀 주가정보 및 기업정보

두산퓨얼셀의 기업정보

1. 회사의 개요

① 설립일자 : 두산퓨얼셀은 2019년 10월 1일에 ㈜두산 연료전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

 

② 주요 사업의 내용 : 연료전지 전문기업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2022년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기자재 공급 66% 및 장기유지보수서비스 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입니다. 직접 제작ㆍ공급하는 연료전지는 전기 및 열효율을 포함하는 복합효율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분산 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발전원으로,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누적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③ 신용평가에 대한 사항

신용평가에-대한-사항
신용평가에 대한 사항

  • 회사채(BBB):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있지만 장래의 환경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④ 회사의 연혁

회사의-연혁
회사의 연혁

 

⑤ 자본금의 변동 : 2019년 10월 1일 분할설립 시 당사의 자본금은 7,160,645,000원으로 2019년도 중 보통주 237,776주를 발행하여 23,777,600원의 자본금이 증가하였으며, 2020년도 중 보통주 1천만 주를 발행하여 10억 원의 자본금이 증가하였습니다.

자본금의-변동
자본금의 변동

2. 사업의 내용

①사업의 개요 : ㈜두산 연료전지 사업을 인적분할하여 2019년 10월 1일 설립, 핵심 사업은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 주요 고객사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입니다.

  • 2023년 3분기 당사는 매출액 1,447억 원, 영업이익 43억 원의 경영실적을 기록
  • 품목별 매출액은 연료전지 주기기 597억 원(매출비중 41%) 및 장기유지보수서비스 850억 원(매출비중 59%)
  • 매출액 증대를 위하여 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모델을 개발하는 한편, 수소-전기-열 생산이 가능한 Tri-gen 모델 사업화, 차세대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양산 등 기술개발과 제품다각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②주요 제품 및 서비스 현황 : 경쟁입찰 과정을 통하여 공급가격이 결정됩니다.

주요-제품-및-서비스-현황
주요 제품 및 서비스 현황

 

③ 원재료 및 생산설비

주요 원재료 현황: 원재료는 크게 MBOP, EBOP 및 셀스택류로 구분

  •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는 연료에서 수소를 개질하여 시스템에 공급하는 연료처리장치 관련 부품
  •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는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 관련 부품
  • 셀스택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

원재료의 주요 매입처는 하이에어코리아㈜, 데스틴파워㈜, ㈜두산 전자 BG, ㈜제이앤엘테크 등이며, 이 중 ㈜두산 전자 BG는 두산그룹 계열회사입니다.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 : 연료전지 1대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기준으로 2023년 평균 MBOP 및 EBOP 가격은 4% 상승하였고, 셀스택류 가격은 1.2% 상승했습니다.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생산능력,-생산실적-및-가동률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 [생산능력 산출근거] * 일평균생산량 x 연간 가동일 수 * 기준용량(연료전지 Model 400) : 0.44MW/대

④ 매출 및 수주상황

매출실적

매출실적
매출실적

 

판매조직 : Customer Service본부의 국내영업팀과 서비스기획관리팀을 중심으로 구성, 국내영업팀은 발전용 연료전지 경쟁입찰에 응찰하거나 SPC 사업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전반적인 수주영업활동을 담당하며, 서비스기획관리팀은 공급이 완료된 연료전지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계약(LTSA, Long Term Service Agreement) 체결 및 서비스 관련 고객사 대응을 담당합니다.

 

판매경로 : 주로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가 진행하는 경쟁입찰에 회사의 영업조직이 직접 응찰하여 선정된 후, 발주처와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합니다.

 

판매조건 : 대금 지급은 일반적으로 계약체결 후 발주사와 당사가 협의한 비율과 일정에 따라 선급금, 중도금 및 잔금으로 나누어 지급, 장기유지보수서비스는 발전소 종합준공 후 일반적으로 10년 혹은 20년 동안 제공합니다.

 

판매전략 : 발전용 연료전지의 원가 경쟁력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 수소를 직접 연료로 사용하는 모델, NG/LPG Dual 연료 사용 모델 및 전기-열-수소 동시 생산이 가능한 트라이젠(Tri-gen) 모델의 개발 등 적극적인 기술 개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하여 프로젝트 개발 및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추진

 

주요 매출처

주요-매출처
주요 매출처

 

부채비율

부채비율
부채비율

 

⑤ 기타 참고사항

업계의 현황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연소과정 없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장치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 없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원입니다.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등으로 분류되며, 각 연료전지는 고유의 특성에 따라 발전용, 가정/건물용, 수송용, 휴대용 등으로 분류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료전지의 종류]

연료전지의-종류
연료전지의 종류

 

두산퓨얼셀은 PAFC 연료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 장점은 고효율ㆍ고밀도 발전원이라는 점 (연료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기존 화석연료 발전원 대비 전력 손실을 줄이고 높은 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타 신재생에너지원과 비교 시 소요 면적이 작고 자연환경의 제약 없이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다는 장점)
  • 친환경 발전원이란 점(원료전지는 연소과정이 없어 질소산화물 발생이 거의 없으며 연료의 황 성분은 장치 내에서 모두 제거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높은 발전 효율을 바탕으로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운동 에너지가 필요치 않아 소음 및 분진의 피해가 거의 없습니다. 향후 수소의 생산 및 유통 기술의 개발로 그린수소 공급이 일반화될 경우, 연료전지는 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에너지 설비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
  • 분산형 전원에 적합하다는 점 (연료전지는 최종 소비자 인접지에 설치하여 전력과 열을 공급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기존 에너지원 대비 송전 및 변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없고 송변전 설비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ㆍ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 부하의 변동에 따라 발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부하 추종 운전이 가능하여 전력 계통의 부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

산업의 특성 : 발전용 연료전지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연료전지 기자재를 공급하고 장기유지보수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제품 경쟁력의 핵심인 기술 개발과 양산 시설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해 전 세계 소수업체만이 원천기술 및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가 절감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산업의 특성이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 발전용 연료전지는 친환경ㆍ고효율 에너지원으로, 분산전원의 최적 에너지 전환 기술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규모와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발주하는 시장, 경기변동 및 계절성의 영향이 크지 않습니다.

 

연료전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 동향이며, 기타 부수적인 요인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시장의 수급 상황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격의 변동성, 수소 공급을 위한 NG/LPG 등 연료 가격, 연료전지에 대한 주민수용성 등이 있습니다.

 

경쟁요소 : 발전용 연료전지의 주요 경쟁 요소로는 발전 성능(파워, 효율, 가동률 등) 및 가격(기기, 설치 및 서비스 가격) 등이 있으며, 그 외에 공급 실적, 장기 운영검증 여부, 회사의 재무구조 등도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두산퓨얼셀이 제작ㆍ공급하는 PAFC 연료전지는 상용화가 검증된 안정된 기술로 높은 전기/열 복합효율(90%)을 구현하여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발생열을 지역난방, 냉동창고, 온천, 스마트팜 등 열원이 필요한 곳에 활용할 수 있고, NG, LPG, 수소 등 다양한 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제품 Line-up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의 연료사용 특성에 맞는 연료전지 공급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작동온도가 낮은 저온형 연료전지로 핵심 부품의 장기간(10년) 수명 보증이 가능하고, 재료의 선택이 자유로워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국내 누적 설치용량 기준으로 작성)

전력통계정보시스템 자료를 근거로 국내의 53% 시장점유율을 산출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

 

시장의 특성 : 발전용 연료전지는 친환경 고효율 분산전원으로 각국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아 두산퓨얼셀, 미국의 Bloom Energy, Fuelcell Energy 등 상용화된 기술을 보유한 소수 업체를 중심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의 주력 시장인 한국은 글로벌 보급량의 약 40%를 점유하며 세계 최대의 연료전지 발전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는 연료전지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설치 면적이 작고 기상조건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한 연료전지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또한 한국은 완비된 LNG망을 활용하여 연료전지 발전소에 천연가스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연료전지 발전을 위한 제반 여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국내 시장은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 확대와 함께 발전단가 하락을 통한 경제성 확보와 전후방 연계사업의 성장 등 질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산퓨얼셀 주가정보

SK증권리서치센터 나승두 Analyst 투자의견(2023.11.24)

두산유얼셀 매수(유지), 목표주가 31,600원(하향), 현재주가 20,800원으로 상승여력 51.9%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의 반등이 조금씩 감지된다. 우리나라 수소연료전지 발전 설비는 2022년을 끝으로 크게 증가하지 못했지만, 2023년 9월을 기점으로 다시금 설비 규모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① 글로벌 금리 인상이 어느 정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 면서 연료전지 발전 사업에 따른 목표 수익률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②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안보 확립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③ 수소발전 입찰 시장이 열린 효과 가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판단이다.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이 열리는 시점은 아직 미지수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 일반수소 발전 입찰 시장이 열리면서 답보 상태에 빠졌던 연료전지 발전 시장에 조금씩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이 열리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더욱 가파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45,000 원에서 31,600 원으로 하향조정(-29.8%)한다. 목표주가는 기존과 동일하게 미래현금흐름 할인법을 사용하였으나, 정책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신규 수주 기대 물량이 최소 1 년씩 이연 되었음을 반영하였다.

하지만 2024 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수소를 비롯한 신산업 인프라 투자 확대 의지가 강하고, 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 조성 및 소규모 수소 생산기지 구축 등의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금씩 투자 비중을 늘려가야 할 시기라 판단한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Green Industry 투자의견(2023.11.02)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35,000원(하향), 현재주가 16,080원

* 3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456억 원, 0.7억 원으로 컨센서스(793억 원, 15억 원) 하회.
* 중국 매출 지연, 금리 인상과 제도 전환으로 인한 세부 일정 지연으로 파이낸싱 늦어지면서 4분기로 매출 이연.
* 첫 일반수소발전 입찰 물량 총 89MW 중 69.5MW 낙찰, 두 번째 입찰 감안하면 올해 90~100MW 낙찰 추정.
* 올해 입찰시장 확정 수주는 2년 내에 완공되는 조건이어서 2024년 매출 성장 요인으로 보임.
* 연간 수주는 RPS와 입찰 시장 물량 합쳐서 170~180MW 수준 예상(2022년 수주는 168MW)
* 수소버스 파워 팩 내년 출시 목표로 사업 영역 확대 노력, Ballard Power와 기자재 업체들과 협의 완료 상태.

* 글로벌 수소 시장은 미국의 수소 허브 투자와 EU의 산업별 사용 의무화 정책으로 개화 가시성 높아져, 금리 인상으로 낮아진 글로벌 수소 관련주들 밸류에이션 감안해서 목표주가 50,000원에서 35,000원으로 하향.

 

주가정보 및 주가상대수익률

두산퓨얼셀의 주가는 2월 2일 종가기준 20,950원, 52주 최고가 36,750원, 52주 최저가 16,080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67조 원으로 발행주식 총수는 65,493,726주입니다.

주가정보-및-주가상대수익률
주가정보 및 주가상대수익률

재무비율 및 투자지표 

재무비율및-투자지표
재무비율및 투자지표

두산퓨얼셀 요약

두산퓨얼셀의 핵심 사업은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2022년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기자재 공급 66% 및 장기유지보수서비스 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국내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입니다. 미래성장을 위하여 익산공장 PAFC 생산시설 증설에 착수하였고, 차세대 SOFC 시스템 개발 및 생산설비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6%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했으며, 매출의 변동성은 있으나 꾸준한 매출로 4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 지속 중입니다.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누적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어 향후 시장 발전에 수혜를 입을 전망하고 있으며, 2023년 2월 남호주 주정부와 수소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프로젝트 개발 및 해외 기업과 협력 추진 중으로 사업영역 확대가 기대되며 정책에 따라 시장의 성장성이 예상됩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