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써키트 주가및 기업정보,CXL 관련주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리아써키트 주가및 기업정보,CXL 관련주

by 정론 2024. 3. 20.
반응형

코리아써키트는 48년간 오직 전자회로기판(PCB)만을 전문으로 생산업체로 CXL 관련주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코리아써키트의 주가와 기업정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코리아써키트의-정보
코리아써키트

코리아써키트의 기업정보

코리아써키트는 지배회사로 PCB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으로 국내 종속기업 중 테라닉스는 특수 PCB를, 인터플렉스는 FPCB를, 시그네틱스는 반도체 패키징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 종속기업에는 INTERFLEX VINA, KOREA CIRCUIT VINA가 있으며 PCB 제조업을 하고 있습니다.

 

  • 전자회로기판(PCB) 제품 : 디지털 TV, 컴퓨터 등 가전제품용 PCB, 휴대폰, PDA 등 이동통신 기기용 PCB, 반도체 실장용 PCB

전자회로기판(PCB)-제품
사진 출처 https://unsplash.com/ko/@vishnumaiea

 

  • FPCB 제품 : 연성 PCB, Flexible PCB, 구부러지는 PCB로, 3차원 배선이 가능하고 휴대폰, 디지털카메라에 주로 사용.

FPCB-제품
FPCB 제품 자료

◆ 코리아써키트의 기업의 개요

  • 대표이사 : 장 세 준 
  • 설립일 : 1972년 4월 11일 
  • 자본금 : 13,685백만 원 
  • 임직원 : 780명 
  • 본사 및 1공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강촌로 139번 길 9 (성곡동) 2 공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강촌로 25(신길동) 

코리아써키트 연력

  • 2019. 03. 25 서정호 대표이사 취임 
  • 2020. 03. 24 장세준 대표이사 취임
  • 2020. 07. 14 KOREA CIRCUIT VINA CO., LTD.(베트남) 설립
  • 2022. 09. 15 안산 신규공장(P3) 준공
  • 2023. 03. 27 경영진의 변동 : 사내이사 윤영선 , 사내이사 유완준 선임 / 사외이사 심일선 , 상근감사 성병준 재선임

코리아써키트의 계열사(종속회사) 

(주)인터플렉스 : FLEXLBLE PCB 제조(연성 인쇄회로기판 FPCB를 전문 생산 판매)

인터플렉스는 FPCB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적용 제품군의 확대로 PCB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제품 등의 생산 증가로 인해 세계적으로도 FPCB에 수요증가 및 생산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회사는 1999년에 국내 최초로 폴더형 FPCB를 양산했고 그 이듬해에는 Rigid FPCB 양산을 시작하였습니다.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 글로벌 기업이 있으며,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에 발맞추어 수주 및 매출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지에 진출한 Big Customer의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생산 CAPA 증설투자를 진행하였으며, Multi FPCB LINE 구축을 통한 현지 생산 및 공급량 확대 등으로 매출과 손익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테라닉스 : MLB PCB 제조(특수 PCB 전문 생산업체로 LED PCB 등을 생산, 판매)

테라닉스는 1994년 설립 이래 인쇄회로기판을 전문 생산해 온 업체로서 국내외 핵심 부품에 탑재되는 기판을 지속 공급하고 있습니다. 핵심기술인 고방열기판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고객사와 신규제품에 대한 선행제품 개발을 확대하고 지난해에는 해외 글로벌 통신고객사와의 비즈니스 전개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그네틱스(주) : 반도체 집적회로(I.C) 패키징 및 성능검사

시그네틱스 주식회사는 Fingerprint Sensor 패키지 기술 개발을 통하여 매출을 확대하였고,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반도체 패키징 타입인 Recon Filp Chip을 개발 및 지속 투자하여 양산 중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들의 경량화, 다기능화에 따른 반도체 PKG의 SiP, Large Body, Fine pitch 등 New Biz 매출 창출을 위한 LAB(Laser Assisted bond system) 기술을 지속적으로 투자 및 개발 중에 있습니다. 또한 Advanced SIP Module 제품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양산 Infra를 확보 및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반도체 패키지인 Recon플립칩 양산 Infra를 확보하였습니다.

코리아써키트의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최근 신용평가에 관한 내용)

신용평가에-관한-사항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 참고) 평가등급 A : 채무이행 능력이 우량하나,상위등급에 비해 경기침체 및 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 코리아써키트 사업의 개요 

2023년 연결 매출은 13,322억 원이며, PCB는 7,061억 원(53.00%), FPCB는 4,300억 원(32.28%), 반도체 패키징업은 1,855억 원(13.92%), 기타 106억 원(0.80%)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PCB제조업, 경기도 안산시 및 베트남에서 제조하며 생산능력은 4,036천㎡, 생산실적은 2,377천㎡

반도체 패키징업, 경기도 파주시에서 제조하며 생산능력은 942,432천개, 생산실적은 370,257천 개

 

코리아써키트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 PCB 제조부문 매출액 706,074백만 원( 53.00%), FPCB 제조부문 매출액 430,069백만 원(32.28%), 반도체 부문 매출액 185.485백만 원(13.92%), 기타 임대등 매출액 10,607백만 원(0.80%) 차지.

주요 제품-등의-현황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코리아써키트의 매출실적

매출실적
매출실적

산업의 특성  

[PCB 부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반도체가 전자제품의 두뇌라면 PCB는 신경시스템에 비유됩니다. 가전기기, 이동통신기기, 반도체뿐만 아니라 자동차, 항공기, 선박, 첨단 의료기기 및 우주항공 산업 등 그 사용 범위가 더욱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PCB 산업은 고객이 설계한 제품을 주문받아 생산하는 수주산업이며 전공정의 제조능력을 설비가 좌우하는 대규모 장치산업에 해당되며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방산업과 원부자재, 설비, 약품 등의 후방산업 등 다양한 핵심요소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전후방 집약산업입니다.

 

[반도체 부문] 반도체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은 인적 자본보다는 생산설비 확충 등 물적 자본투자에 크게 의존하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편중돼 있습니다. 다만, 최근 반도체산업은 양산능력을 중요시하는 생산기반 중심산업에서 지식기반 중심산업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기술경쟁력을 중심으로 업계의 재편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PCB 부문]

전방 산업인 IT산업(반도체, 정보통신기기, 가전, 디스플레이)의 고속화, 대용량화에 따라 부가가치가 큰 휴대폰용, 반도체 패키징용 PCB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기술을 요하는 군수, 자동차, 산업용 로봇 및 첨단 의료기기 산업에도 PCB가 핵심부품으로써의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방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PCB산업 또한 이와 횡보를 같이하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PCB 부문]

전방산업인 전자산업 발전에 따라 PCB업계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뿐만 아니라 미세패턴화, 경박화, 소형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Wearable 제품), 통신기기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제품 등 전자제품의 융ㆍ복합화 및 신기능 추가, 고기능화 등으로 인하여 수준 높은 기술력의 보유는 업계의 필수 조건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제품의 인증 및 정보화기기의 발달에 따른 성능개선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코리아써키트의 주가

2024년 3월 19일 기준 종가 18,310원, 52주 최고가는 21,550원, 52주 최저가 13,280원이었습니다. 시가총액은 4,325억 원이며 발행주식 총수는 23,620,751주입니다.

 

코리아써키트의-주가
코리아써키트의 주가

코리아써키트의 주요 재무항목 및 자산성장성 지표

출처:네이버 주가정보

마치며,

코리아써키트는 48년간 오직 전자회로기판(PCB)만을 전문으로 생산업체입니다. 코리아써키트가 CXL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고객사로 삼성전자를 두고 DDR5 제품 모듈과 차세대 SSD, CXL 제품을 개발 중이기 때문입니다. CXL은 Computer Express Link의 약자로 데이터의 빠른 전송 인터페이스 기술로 AI 시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들을 빠르게 처리하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리아써키트의 2023년 실적은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2024년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패키지 매출 증가, 북미 MLB(HDI)의 추가 매출로 수익성 개선 예상됩니다. 2024년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 고부가 패키지(FC 계열의 BGA, CSP, BOC) 매출 증가 예상됨으로 분기별 매출을 보면서 대응해도 늦지 않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